Choi Joonyong
![]() |
Choi Joonyong(Choi is
the family name) is from Seoul, South Korea. He founded Astronoise(the first noise project in Korea) with Hong Chulki in 1996, and has been playing so-called noise/experimental/improvised music since then. He usually plays playback devices such as CD-player, MP3-player, tape player, VCR, and loud-speaker by utilizing the fallacy to expose their innate sounds from the mechanism. He is involved in collaborations with other artists and released many albums including five solo albums such as Danthrax which is made with malfunction of CD-player. He is interested in control and failure of playing through improvisation and composition. Recently he is working on solo performances questioning the inferiority and perception of sound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ntext. He runs a label called ‘Balloon & Needle’ releasing experimental music from Korea and does the cover design for most of the releases since 2000. He also plays bass guitar in a doom metal band 'Vomit & Tear' with members of SklavenTanz. |
- Choi Joonyong's interview on Foxy Digitalis
performance videosselected performance / composition
title |
date/venue |
video/photo |
note |
score/instruction |
musicboxxx |
5 modules V(Manual, 2008) 2009/02/21 닻올림 |
회전의 원리로 작동하는 악기들의 다른 변수는 고정시키고 회전속도만을 조절하여 연주하는 곡 |
||
speaker with white noise |
2011/01/31 |
스피커를 이동하여 '공간 탐구'를 실천하는 퍼포먼스 소리는 어느 위치에서나 다르게 들린다. 그리고 이곳저곳에서 어떻게 소리가 나고 그것이 어떻게 들리는 지가 궁금하다면 그 위치에 가보지 않으면 모른다. 하지만 일반적인 공연장에서는 무대, 좌석, 관객, 장비 등 거의 모든 것이 고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연장에서 소리로 공간을 탐구하려면 소리의 원천을 직접 움직이는 수밖에 없다. |
화이트 노이즈가 나오는 스피커를 공연장 안과 밖 곳곳으로 이동시킨다. |
|
breathe. blow |
2011/05/21 |
![]() |
하모니카와 오실레이터의 소리를 교차시키는 작곡된 연주 기계는 사람이 연주하는 것처럼 시뮬레이션을 하고 사람은 기계가 연주하는 것처럼 훈련을 한다. 이것을 잘 할 수록 기계와 사람은 더 높이 평가 받는다. 이런 가치는 음악연주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결국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스마트한 기계와 기계같은 노동자이다. breathe. blow는 그 간극을 바보같은 기계와 훈련받지 않은 사람이 연주하여 극소화하려는 시도이다. |
|
break. believe |
2011/06/22 |
안과 밖이 구분되어 있는 공간과 하지의 황혼이라는 시간에 실현된 퍼포먼스 우리에게 모든 음악 혹은 소리는 평등하지 않다. 따라서 그 안에서 무엇이 우월하고 열등한가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소리뿐만 아니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기술과 시공간 속에서도 끊임없이 대비가 일어난다. break. believe는 그러한 대비를 주어진 자원속에서 극대화하려는 시도이다. |
||
blind. behold |
2011/08/13 |
연주자가 아무것도 보지 못하게 한 채 앰프와 기타 사이에서 나는 피드백 소리에 의존하여 연주하는 퍼포먼스 음악은 이제 듣는 대상에서 보는 대상으로 바뀌었다. 소위 말하는 사운드 아트도 그렇고 오디오 프로그램의 파형이나 유튜브 등에서 보는 음악도 그렇다. 무엇인가 보이는 것이 없으면 불안하다. 하지만 반대로 들리는 것이 없으면 평온하다. 청각은 시각에 의존한다. 결국 시각과 청각은 대등한 감각이 아니다. 어두운 무대에서 관객들이 찾으려는 것은 소리가 아니라 연주자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blind. behold'는 비록 그 연주자가 아무것도 볼 수 없어도, 아니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관객들은 보려고 할 수밖에 없다는 가정을 시험해 보려는 시도이다. |
||
bounce. befall |
2011/08/19 2012/10/19 2013/10/08 |
수 백개의 탁구공 낙하 퍼포먼스 우리가 보통 열등한 소리라고 느끼는 대표적인 소리는 무엇인가가 떨어지는 소리이다. 이것은 누구든지 낼 수 있는 소리이며 어디서든 쉽게 들을 수 있는 소리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무엇이 떨어지는 소리는 불길하다. 누군가의 실수로 인한 것일 수도 있고, 그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그 떨어지는 대상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전자/전기 신호로 만들어진 소리가 판타지라면 물체의 질량, 중력, 마찰력, 탄력이 만들어내는 소리는 현실일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현실을 피할 수 없다. |
||
burst. behave |
2011/11/03 |
계단에서 기타 앰프를 굴리는 퍼포먼스 음악에서 스피커는 어떤 권위를 갖고 있다. 그것은 곧 증폭의 힘이기도 하다. 아무리 초라하고 열등한 소리라도 크고 정교한 스피커를 통한다면 우월한 음악으로 들리게 할 수 있는 힘이 스피커에게는 있다. 하지만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는 결코 원래의 소리가 아니다. 비록 음향기기들이 ‘원음’을 보존하고 재생하는 기술을 사용한다고 선전하지만 그것은 단지 ‘그럴듯하게’ 들리기 위한 ‘보정’ 기술에 불과하다. 이것은 사람들이 결국에는 ‘원음’ 보다도 ‘귀에 쾌적하게 들리는 소리’를 듣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burst. behave는 이러한 '원음'과 '스피커를 통한 소리'의 괴리를 음악에서의 또 하나의 권위의 상징인 공연장 안과 밖을 이용하여 극대화 해보려는 시도이다. |
||
Fader |
2018/03/25 |
|
A. one loud speaker(something like a guitar amp) B. sound source: white noise C. something to cover the loud speaker such as blanket, sponge, paper, etc. 1. play B on A as loud as possible 2. cover or wrap A with C until B can't be heard (clearly) 3. undo 2 4. stop B |
|
Monolith |
2019/07/27 |
|
|
duo project
with Hong Chulki |
|
with Takahiro Kawaguchi |
|
with Matija Schellander |
|
with Jin Sangtae |
band
discography
Choi Joonyong - HOLD-> (web release, 2007: Balloon & Needle)
Choi Joonyong, Takahiro Kawaguchi, Hong Chulki - aimless, painless, timeless (CD-R, 2024: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Devin DiSanto - Strange Skills (CD, 2024: Erstwhile Records) |
Choi Joonyong, Jin Sangtae - Hole In My Head (CD, 2020: Erstwhile Records) |
Choi Joonyong - Washing Machine (digital, 2020: AMPLIFY 2020 quarantine by Erstwhile Records) |
DANTHRAX - Megamix vol.2 (digital, 2020) |
DANTHRAX - Megamix vol.1 (digital, 2018) |
Choi Joonyong, Kevin Drumm, Hong Chulki - Normal (CD, 2015: Balloon & Needle) |
|
Choi Joonyong, Kawaguchi Takahiro - Suncheon Hyanggyo (CD, 2012: Balloon & Needle) |
![]() |
DANTHRAX- DANTHRAX (CD, 2012: TRIGGER!) |
![]() |
Choi Joonyong, Hong Chulki, Ryu Hankil - all Ears Festival for Improvisert Musikk 2011 (digital, 2012: Audition Records) |
Choi Joonyong, Ryu Hankil, Hong Chulki - INFERIOR SOUNDS (CD, 2011: Balloon & Needle) |
Jason Kahn, Choi Joonyong, Ryu Hankil, Jin Sangtae, Hong Chulki, Park Seungjun - Dotolim (CD, 2010: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 I am scratching a cd in a room (CD-R, 2010: Reductive) |
Choi Joonyong - Burn Yoido Burn (mini CD-R, 2010: Ghost and Son) |
Park Seungjun, Choi Joonyong - Driller (CD, 2009: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Hong Chulki, Sachiko M, Otomo Yoshihide - Sweet Cuts, Distant Curves (CD, 2008: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Hong Chulki, Ryu Hankil - 5 modules_V: Three Composition Pieces (CD-R, 2008: Manual) |
Choi Joonyong, Hong Chulki - hum and rattle (CD, 2007: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Ryu Hankil, Jin Sangtae - 5 modules _I (CD-R, 2006: Manual) |
Choi Joonyong - White Disc ver.2 (CD-R, 2006: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 CDPS 01/02 (CD-R, 2006: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Jin Sangtae, Tangent - Antler Juice (CD, 2005: Postmoderncore) |
Choi Joonyong - White Disc (CD-R, 2005: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Hong Chulki - Duo Works +1 (CD-R, 2005: Rasbliutto Recordings) |
Choi Joonyong, Hong Chulki, Joe Foster - 4387 sec. (CD-R, 2005: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Hong Chulki - cd1, cd2 (CD-R, 2004: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Hong Chulki, Sato Yukie - 4462 sec. (CD-R, 2004: Balloon & Needle) |
Choi Joonyong, Hong Chulki - Pulse Music Suite I-V (CD-R, 2003: Balloon & Needle) |
THIS I THAT IS ALL OF YOU
(book, 2017: Opentexture)
Fukushima! (2 CDS, 2012: Presqu'ile Records)
Dotolim USB (USB memory, 2012: Dotolim)
RELAY : Archive 2007 - 2008 (2 CDS, 2009:
Manual)
Compost and Height first birthday
celebration compilations (3 CDRs/free download, 2009: Compost and Height)
remix: Splinter vs Stalin - Frassicabox (6 CDRs, 2007: Turgid Animal)
Signal to Noise vol.6 (CD, 2008: For4ears)
ONJO - LIVE Vol.2 'Parallel Circuit'
(2 CDS, 2007: Doubt Music)
Soundmuseum(museum
for contemporary sound art) 'hold07'